광고게시판
바이블25
크리스천라이프
커뮤니티
갤러리
성경/찬송가
지역정보
로중
전도
뉴스
QT
전도모음
Cristian YouTube
     
커뮤니티
칼럼
명언묵상이미지
하늘양식
오늘의책
십자가
명상
영상
설교
말씀
독자편지
독자편지 [123]
 
 
 
     
 
 
 
작성일 : 23-05-11 06:15
   
진짜 이정도면 신학의 신비함이다
 글쓴이 : dangdang
조회 : 6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462 [105]


 

진짜 이정도면 신학의 신비함이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윌리엄 제임스, 한길사, 2000)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보면 간증을 많이 듣게 된다. 그때마다 각자의 삶이 다르고 환경도 다르고 경험한 바도 다르지만 하나님의 은혜는 어쩜 이리 동일한지, 한량없는 사랑에 깊은 은혜를 받는 일이 있다. 분명 다양한 종교적 경험 속에서 일치되는 신 존재에 대한 의식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책은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을 풀어서 설명하고자 하는 저자의 노력이 담긴 책이다.

 

윌리엄 제임스가 책을 저술할 당시에는 미국 지성은 대부분 유럽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제임스가 보고자 하는 종교현상은 그 당시 대두되었던 종교사학적인 내용이 짙은 듯하다. 그걸 느낀 지점이 아무래도 특정 교리나 교단을 중심으로 보지 않으려는 경향과 어떤 종교도 절대적 우위를 점하지 않고 보려는 관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필연적으로 종교를 신학적 관점이 아닌 종교학이나 인간학에 가까운 지점에서 보는 듯하다.

 

종교를 인간의 관점에서 보고자 하는 노력이 너무나도 당연하기도 하고 정답이기도 하지만 아쉬운 것도 사실이다. 오늘날 유명을 넘어서 필독서로 불리는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인간의 종교를 상상 속의 실재로 말한다. 그러나 여전히 진화생물학의 영향 아래에 존재하는 종교에 대한 환원주의적 태도다. 아무튼 하고싶은 말은 어째서 비슷한 종교사적인 영향 아래에서 윌리엄 제임스는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을 결국 인간의 내적인 종교성으로 파악하고 판넨베르크는 조직신학개념으로 하나님을 주장할 수 있었는가 하는 질문이다.

 

종교적 경험은 분명히 다양하다. 종교적 경험이 다양한 이유는 종교에서 주는 어떤 제의나 의식이나 내용들에 의해서 다양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종교인의 잠재의식이 다양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종교적 경험의 원천은 의식적인 영역을 넘어선 인간의 잠재의식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어쩌면 융의 원초적인 형태의 종교적 무의식도 같은 맥락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판넨베르크는 뭐라고 말하는가? 그도 분명한 것은 종교적 경험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렇다면 종교적 경험의 원천은 어디서 오는가? 어떤 방식으로 기독교는 그리스도인의 종교적 경험이 하나님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주장하는가? 분명 이 둘의 일치점도 소름돋게 존재한다. 실제로 판넨베르크의 조직신학에서는 하나님의 표상이나 종교적 경험은 다양하지만, 인간적 경험이나 행위의 구조는 인간적 본성의 단일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양성을 위한 통일적인 관계성의 지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종교의 인간학적인 본질과 신학적인 본질이 있다는 판넨베르크의 주장은 어느정도 합리적이다. 그렇지 않다면, 만약 하나만의 본질이 절대적이라면 유발하라리와 같이 아니면 종교학의 입장에서 바라본 종교의 내용이 부족하다거나 또는 여전히 해명될 수 없는 비합리성에 놓여있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인이 느끼는 바는 인류학과 같아 역사적 맥락에서 초월성을 담지할 수 없거나, 그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때 생기는 오류는 바로 신학적인 본질을 이해할 수 없거나 또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오해하는 바가 아닐까 추측한다.

 

자연스러운 이해지만 인간의 종교적 성향으로는 결국 신의 현존재는 추론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은 인간학적인 본질로 수렴된다. 하지만 종교적 진리, 또는 그 원천에 대해서 하나님 인식까지 이르기 위해서는 분명 종교의 인간중심성을 탈피해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신학의 신비성은 독특하고, 특별하지 않을까 자부심을 가져본다.  

 

이경우/학생​ 


 
   
 

 
Copyright(c) 2012 http://bible25.bible25.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