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게시판
바이블25
크리스천라이프
커뮤니티
갤러리
성경/찬송가
지역정보
로중
전도
뉴스
QT
전도모음
Cristian YouTube
     
커뮤니티
칼럼
명언묵상이미지
하늘양식
오늘의책
십자가
명상
영상
설교
말씀
독자편지
독자편지 [69]
 
 
 
     
 
 
 
작성일 : 23-10-28 23:47
   
한국교회 트렌드 2024
 글쓴이 : dangdang
조회 : 5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20 [69]


 

<한국교회 트렌드 2024>

 

(목회데이터연구소, 규장, 2023)

 

이 책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급속한 변화의 현상들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한국교회 목회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 출간된 것이다. 서문에서 이렇게 분석한다. 르네상스, 산업혁명 이후 세계는 거의 500년간 팽창사회였지만, 지금은 인구가 감소하고, 생산성의 획기적 증대로 공급이 과잉되고, 역사상 최고 수준의 부채와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마디로 수축사회로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한국교회도 마찬가지로 수축하고 있다고 본다. 2012년 개신교인 비율이 22.5%였는데 2022년 15.0%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하락 추세라면 동일한 감소율을 적용했을 때 앞으로 10년 뒤인 2032년에는 개신교인 인구가 10.2%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교회는 지금 위기를 맞이한 것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시대가 바뀌고 게임의 ‘판’이 바뀌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1장은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축 시대에 들어선 교회 리빌딩(Rebuilding)에 대해 다루고 있다. 한국교회는 코로나19를 겪으며 대격변기를 맞았다. 현재 한국교회 변화의 핵심 키워드는 교인 수 감소다. 교인 수 감소는 교회의 존립위기를 낳는다. 그리고 교인들도 변했다. 코로나 이전의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언택트로 성도들이 개인주의화 되었고, 스스로 알아서 자신들의 신앙을 유지하고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슬기로운 성도들과 온라인상에서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추구하는 ‘플로팅(floating) 크리스천’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또한 ‘Spiritual But Not Religios’, 즉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는 않은” 성도-가나안성도-들이다.

 

그래서 교회는 이제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선택과 집중이다. 우리 교회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사역, 한 가지에 집중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교인이 한 곳을 바라볼 수 있는 ‘북극성’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성도들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 평신도 역할의 확대, 개인 맞춤형 신앙 콘텐츠 지원 등을 말하고 있다.

 

*개인 영역의 트렌드

1) 외로운 크리스천 : 한국 사회의 심각한 외로움 현상이 교회 안까지 들어와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 국민들의 외로움 비율이 55%인데 반해, 교회를 다니는 사람들도 무려 46%가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즉 교회 공동체 안에서 혼자는 아닌데 ‘외로운 크리스천’이 많다는 뜻이다. 소그룹 모임을 통하여 하나됨을 돈독하게 하거나, 미디어 플랫폼에 시간을 덜 쓰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한다.

2) 3040 세대 : 외로움과 더불어 코로나 이후에 발견된 한국교회 현상 중 하나는 ‘3040 세대’가 교회에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3040세대가 교회에 출석하지 않으면 그들의 자녀도 교회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다음 세대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3) 밈(Meme) 제너레이션 : 밈은 디지털 세대의 소통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첫 번째 동력으로 ‘부모 교육과 훈련’을 주장한다. 교회가 부모를 교육해야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를 교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 ‘위한’ 사역을 멈추고 청소년에 ‘의한’ 사역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4) OTT(Over The Top) 크리스천 : OTT는 기존의 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해 방송되던 TV 프로그램들을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신앙생활을 실천하며 자신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 신앙 콘텐츠를 이용하는 크리스천을 말한다.

 

*교회 영역의 트랜드

1) 교회 거버넌스(governance) : 현재 한국교회 모습이 권위적이고 보수적이고 비민주적이라 인식이다. 그래서 좋은 의사결정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2) 어시스턴트 포비아(Assistant Phobia) :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교역자 구인난이 확산되고 있는데, 그 원인에 ‘사역 기피 현상’이 자리하고 있다고 하면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3) 다시 선교적 교회(Re-Missional Church) : 선교적 교회는 하나님 나라 운동이다. 영혼 구원과 세계 선교를 함께 품는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4) 교회 안의 교회(Church in Church) : 관계적 친밀감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뤄내는 소그룹 사역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상황을 전문지호후문지랑(前門之虎後門之狼)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과거(늑대)를 정리하기도 버거운데 미래의 새로운 변화(호랑이)에 대비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재의 한국교회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판이 바뀌었음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래서 ‘다시 세움’(Re-build)가 아니라, ‘새로 세움’(New-build)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말이다.

 

권종철목사/예수마을교회​ 


 
   
 

 
Copyright(c) 2012 http://bible25.bible25.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