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전쟁에서 이기려면
농사꾼의 아들로 태어나 그런지 빈 땅이 있으면 무엇이든 심고 싶어진다. 그래서 교회 마당 주변 손바닥 만 한 빈터에 무얼 심었었다. 그러나 나무그늘과 교회 주변 청소 때 뿌리는 제초제 때문에 잘 안 돼 이젠 접었다.
대신 옆집 홍순동 성도님이 갈아준 냇가 땅을 터앝으로 정했다. 자신의 밭을 갈며 곁들여 우리 집 빈터까지 갈아주는 너른 맘씨가 감사하다. 올해는 비닐까지 씌워줘 우리 집 작은 터앝에서 고구마와 가지, 고추 그리고 토마토가 튼실하게 여물어가고 있다.
농사는 지난해 씨앗을 받아 놨다 다음해 심어 열매를 거둔다. 이 평범한 진리가 이제는 진리가 아니다. 고구마는 줄기를 꽂고, 가지며 고추, 토마토는 모종을 사다 심는다. 그러고 보면 올해는 씨앗으로 시작한 작물은 없다.
터앝에 무와 배추를 심은 적이 있는데 씨앗을 종묘상에서 사다 심었다. 그런데 알타리무도 그렇고 얼갈이배추도 그렇고 씨앗이 희한하다. 고운 하늘색 빛깔이 너무 아름다웠다. 내가 어렸을 적 보았던 무씨나 배추씨가 아니라서 종묘상 주인에게 물었다.
“이게 왜 이래요? 무씨와 배추씨 맞아요? 제가 아는 씨앗 색깔이 아닌데요?”
“네, 맞아요. 요샌 다 그렇게 나와요. 뭔 처리를 했다고 하던데. 농약이 묻어서 그런 색깔이 나는 거예요. 약품처리를 했기 때문에 병충해에도 강하고 맛도 좋아요.”
그때는 병충해에도 강하고 맛도 좋다는 말이 그렇게 은혜롭게 들릴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 씨앗은 발아할 수 있는 종자는 아니란 걸 뒤늦게 깨달았다. 자고로 씨앗을 땅에 심으면 싹이 나고 자라 꽃을 피워야 한다. 하지만 종묘회사에서 조작한 씨앗은 한해살이만 가능하다. 씨앗을 받을 수도 없고 혹 씨앗을 받았다 해도 발아하지 않는다.
어머니의 농사법은 달랐다. 무를 가을 내 놔두면 쫑이 나고 꽃이 핀 후 씨앗을 맺는다. 그 씨앗을 받아 고이 싸두었다가 오는 봄에 땅에다 뿌린다. 그렇게 순무랑 배추 등을 키워 먹었다. 지금은 전혀 다른 방법으로 농사를 지어야 한다. 모든 씨앗은 종묘상이 아니면 구하기 힘들다. 종묘상의 씨앗은 약 처리를 해 다음해를 기약할 수 없다.
여기에 글로벌 종묘회사의 음모가 있다. 우리나라의 작은 종묘회사까지 집어삼킨 다국적 종묘회사들은 품종개량이라는 미명 하에 한해살이 씨앗을 만든다. 이를 ‘터미네이터 씨앗’ 혹은 ‘F1 씨앗’이라고 한다.
영화 <터미네이터>는 인간이 만든 기계인간이 가공할 힘을 발휘한다. 하지만 결국 용광로로 스스로 들어가 자신을 폐기하도록 설계되었다. 한번 쓰고 버리는 것이다. ‘F1’도 같은 뜻이다. 2세, 3세가 될 수 없다는 뜻이다.
농부는 씨앗을 종묘상에서 사야 농사를 지을 수 있다. 그것도 비싼 값에. 씨앗이 금값보다 비싸다. 파프리카 씨앗은 한 돈(3.75g, 금은 18만 원)에 45만 원을 줘야 한다. 종자 주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선 옛날 씨앗 받아 농사짓는 방식으로 돌아가야 한다.
신앙생활은 어떨까. 참 편하게 믿는 세상이다. 그러나 본래적(초대교회의) 신앙생활이 중요하다. 기도하고 말씀 읽고 설교 듣고 열심히 전도하는... 이게 회복되지 않으면 신앙도 다음세대를 꿈꿀 수 없을 것이 분명하다.
김학현
Copyright © 2005 당당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