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릿느릿 ‘봄’
봄과 겨울이 오락가락한다. 이른 봄의 추위는 더욱 매섭게 마련이다. 해마다 3월 입학식은 얼마나 추었던가? 추억 속의 입학식은 봄 속의 겨울 풍경이었다. 넓은 운동장도, 반복해 ‘앞으로나란히’를 하던 두 손도, 훌쩍거리던 코끝도 모두 얼어있었다. 당시 코푸는 손수건을 가슴에 매단 새내기들은 며칠 씩 운동장에 서서 앞으로나란히와 차려를 통해 비로소 어린 학생이 되었다.
기후변화로 겨울이 한결 푸근해 졌다지만, 심리적으로 아직 겨울은 물러가지 않았다. 겨울과 봄의 경계에서 한 동안 간(間)절기가 유난히 길게 느껴질 것은 자연스럽다. 단비는 어느새 눈발로 변하기 일쑤이고, 멀리 바라보는 산마다 몇 번 더 흰 모자를 쓸 것이며, 사람들은 당분간 겨울내복을 벗지 못할 것이다. 아마 뉴스 끝에 기상 캐스터로부터 거꾸로 가는 계절 이야기를 듣게 될지도 모른다.
겨울과 봄은 가끔 엎치락뒤치락 할 테지만, 결국 봄이 이길 것이다. 이미 부지런한 풀들은 겨울몸살을 견뎌냈다. 성급한 마음으로 느끼는 봄볕은 여전히 한랭전선이지만, 어느새 세월은 입춘(立春)의 경계를 넘어, 우수의 강을 건너, 마침내 ‘오늘’ 경칩에 이르렀다. 꽃샘추위와 잎샘추위란 고비가 남아있지만, 마음보다 천천히 느릿느릿 새 봄이 다가오고 있음은 분명하다.
봄은 그 길목을 따라 자연스레 우리 곁으로 오는 듯하지만, 저마다 봄을 맞는 사람들의 마음은 언제나 우여곡절이다. 그런 봄이 오는 계절의 문턱에서 내가 기다리는 봄소식은 과연 무엇인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란 짧은 구절을 인용하면서 ‘봄은 왔으나 봄 같지 않은 봄’을 원망하는 시절이 바로 이 즈음이기도 하다.
때 이른 봄 타령에도 불구하고, 꽃 소식은 소문보다 먼저 찾아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봄의 전령 개나리는 3월 15일 경 서귀포에서 첫 멍울을 터뜨린 후 등고선을 그리면서 북상한다고 한다. 3월 말이면, 개나리뿐이랴! 생강나무, 산수유 그리고 수선화까지 노오란 봄꽃들이 차례로 익숙한 얼굴을 내밀 것이다.
사실 유명세를 타는 노란 꽃들보다 더 일찍 피어나는 봄꽃들이 있다. 동백이나 매화타령이 아니다. 이미 얼음 밑에서 핀 꽃들은 벌써 아우성이더라. 한결같이 작고, 낮게, 겨울 낙엽 사이에서 피어나는 봄꽃들은 대개 비리비리 약해 보이지만 가장 담대한 풀이며, 당당한 꽃이다. 겨우 아가 손 한 뼘 크기의 풀에서 피어난 시절어린 봄꽃들이야말로 진정 봄의 전령이라 불릴만하다. 바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의 전선 위에 핀 꽃들이기 때문이다.
복수(福壽)초 꽃, 바람꽃, 노루귀 꽃, 봄까지 꽃이 주인공이다. 가장 일찍 서두르는 복수초 꽃은 차가운 얼음 틈에서 핀다고 해 ‘얼음 새 꽃’이라고 불린다. 가장 흔한 큰개불알 꽃은 이름이 민망해 동호인들 사이에서 ‘봄까지 꽃’이란 새 이름을 얻었다. 바람꽃의 종류는 얼마나 흔한지 이름이 모양새에 따라, 발견된 곳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들바람, 꿩의 바람, 세바람, 변산바람, 너도 바람, 나도 바람, 심지어 ‘그냥’ 바람꽃도 있다.
거스를 수 없는 시간은 성큼성큼 봄을 향해 자취를 옮기고 있는 것이다. 모든 꽃들은 봄빛 순례의 기점이다. 곧 산들바람은 꽃향기와 함께 봄 소문을 사방으로 알릴 것이니, 며칠 새 누구나 설레는 마음으로 봄을 노래하게 될 것이다. ‘봄날, 봄볕, 봄 하늘, 봄 처녀, 봄나물, 봄비, 봄 소풍, 꽃 봄, 봄버들, 봄 바다, 봄 녘, 봄 그늘 그리고 춘풍연가(春風戀歌)’에 이르기까지.
사순절이 봄이 오는 길목에 위치했다는 것은 신비이다. 이런 기다림을 꿈꾸는 사순절기는 그 존재만으로도 거룩하다. 억지 경건과 무리한 절제가 아닌 하나님과 더불어 새로움을 바라‘봄’이며, 따듯한 평화를 살아‘봄’이 좋겠다. 세상의 아픔과 연대하고, 이웃의 고민과 공감하면서, 어느덧 봄! 그런 눈높이를 맞추는 ‘봄’이 되길 소망한다.
송병구
Copyright © 2005 당당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