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게시판
바이블25
크리스천라이프
커뮤니티
갤러리
성경/찬송가
지역정보
로중
전도
뉴스
QT
전도모음
Cristian YouTube
     
커뮤니티
칼럼
명언묵상이미지
하늘양식
오늘의책
십자가
명상
영상
설교
말씀
독자편지
독자편지 [122]
 
 
 
     
 
 
 
작성일 : 21-12-21 19:47
   
전세계 크리스마스 전통음식
 글쓴이 : dangdang
조회 : 92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6704 [127]

 

전세계 크리스마스 전통음식

 

1. 영국 - 민스파이(mince pie)

 

민스파이는 식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영국의 음식들 중에서 몇 안 되는 맛있는 디저트 음식이다. 말린 과일이나 사과, 향신료, 견과류 등을 다져 속을 채운 패스트리 파이로 모양은 타르트처럼 생긴 것부터 만두처럼 생긴 것까지 굉장히 다양하다. 16세기 중반부터 크리스마스 시즌 별미로 떠오른 민스파이는 오늘날에도 영국에서 크리스마스가 되면 꼭 먹는 대표적인 요리이다. 크리스마스부터 12일 간 매일 민스파이를 먹으면 새해에 행운이 온다고 믿기 때문에 영국인들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꼭 민스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2. 프랑스 - 브쉬 드 노엘(Buche De Noel)

 

세계최고의 제빵기술을 자랑하는 프랑스에서는 크리스마스 때 나무토막 케이크라고 불리는 브쉬 드 노엘(Buche de Noel)'을 먹는 풍습이 있다. '브쉬 드 노엘‘은 모카와 초콜릿, 버터크림을 펴 바른 통나무 모양의 롤케이크이다. 

 

3. 독일 - 렙쿠헨(Lebkuchen) & 슈톨렌(Stollen)

 

독일식 진저브레드인 렙쿠헨은 아몬드와 헤이즐넛, 호두 등 여러 가지 견과류와 생강, 넛맥, 계피를 등의 향신료를 넣은 반죽을 구워 만든다. 식감이 부드러운 여러 가지 쿠키모양이다. 독일식 과일케이크인 슈톨렌은 말린 과일과 설탕에 절인 과일껍질, 아몬드 등을 넣고 구운 빵에 버터를 바른 후 슈거파우더를 뿌려 만든다. 2-3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성이 뛰어나다. 12월 초부터 ‘슈톨렌’을 만들어 일요일마다 1조각씩 먹으며 크리스마스가 오기를 기다린다고 한다. 크리스마스에 먹는다고 해서 ‘크리스트슈톨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이탈리아 - 파네토네(panettone), 카폰 마그로(Cappon magro)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유래된 '파네토네'는 천연 효모로 발효시킨 밀가루 반죽에 버터, 달걀, 설탕, 건포도 또는 당절임한 과일 등을 넣어 만든 달콤하고 부드러운 빵이다. 카폰 마그로는 조개와 새우 등 12가지 이상의 어패류를 풍성하게 쓴 해산물 샐러드. 리비에라 해안에 위치한 이탈리아 리구리아 주의 명물이다. 이탈리아에서는 크리스마스이브에 금식을 하거나 육식을 금하는 경우가 있다. 카폰 마그로(Cappon magro)는 ‘금식날 먹는 수탉’이란 뜻이다. 고기를 대신에 해산물을 먹는다는 의미로 빵 사이에 해산물을 넣어 먹는다. 해산물과 함께 야채 등 여러 재료를 화려하게 쌓아 올리고 맨 위에 랍스터를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5. 스페인 - 투론(Turron)

 

투론(turron)은 설탕, 꿀, 달걀흰자, 아몬드와 같은 구운 견과류, 시나몬, 레몬 제스트 등으로 만든 캐러멜 과자다. 네모난 과자나 둥근 케이크 모양으로 일명 ‘스페니시 누가’로 부르기도 한다. 크리스마스 시즌 스페인 가정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디저트이다. 스페인 발렌시아의 알리칸테와 히호나가 투론의 명산지로 유명하다. 

 

6. 핀란드 - 리시푸로(riisipuuro), ‘라티코(laatikko)

 

산타클로스의 고향(로바니에미)이 있고 공식 산타클로스가 해외순방까지 하는 크리스마스의 본고장이지만 핀란드의 크리스마스 음식은 의외로 소박하다. 쌀과 우유, 시나몬, 버터, 설탕으로 만든 달콤한 쌀죽 리시푸로(riisipuuro)가 있다. 속에 통 아몬드 한 알을 넣어두는데, 이 아몬드를 먹으면 다음 해에 행운이 온다는 풍습이 있다. 라티코(laatikko)는 크리스마스에 먹는 따뜻한 음식을 말한다. ‘상자’란 뜻의 라티코로 부르는 것은 이 음식을 사각형 오븐그릇에 담아 굽기 때문이다. 보통 당근, 무와 같은 뿌리채소, 매시드 포테이토에 계란, 우유 등을 섞어 굽는데, 돼지 간(maksa) 등을 넣기도 한다.

 

7. 노르웨이 - 레프세(Lefse)

 

레프세는 감자, 우유 또는 크림, 밀가루로 만들어 석쇠에 구운 평평한 모양에 말랑말랑한 노르웨이 전통 빵이다.  버터와 설탕을 레프세에 추가해 둘둘 말아 먹는 것이 특징이다. 레프세는 먹는 방법이나 재료에 따라서 나뉘는데. 버터, 설탕, 계피 등이 들어간 튄레프세(tynnlefse), 소시지를 둘둘 말아서 먹는 포테틀레프세(Potetlefse) 등이 있다.

 

8. 아르헨티나 - 비텔토네(Vitel tone)

 

한때 대부분이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였던 남아메리카, 그 중에서 아르헨티나는 유럽 국가들의 식문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아르헨티나는 크리스마스에 비텔토네(Vitel tone)’라는 음식을 먹는다. 이는 바로 이탈리아에서 주로 여름에 많이 먹는 ‘비텔로 토나토(Vitello tonnato)’이다. 얇게 썰은 송아지 뒷다리 고기 위에 참치를 갈아 만든 크림소스를 얹어 케이퍼나 각종 향신료와 같은 재료를 뿌려 먹는 음식이다.

 

9. 체코 - 잉어튀김(Fried Karp)

 

고기 대신 생선을 먹도록 한 카톨릭의 오래된 전통에 따라 체코에서는 크리스마스에 고기를 먹지 않는다. 생선이 귀한 체코에서는 크리스마스이브에 잉어를 먹으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이 있다. 그래서 일 년에 단 한 번, 성탄절에는 거의 모든 체코인이 잉어 튀김(Carp Fries)을 먹는다. 

 

10. 호주 - 파블로바(Pavlova)

 

지구의 남반구에 위치하여 크리스마스를 여름에 맞는 호주에서는 여름에 많이 나는 생과일을 활용한 디저트, 파블로바를 먹는다. 파블로바는 머랭을 케이크처럼 구워서 사이사이에 과일과 크림을 넣어 만드는 크리스마스 케이크의 일종으로 크리스마스에 생과일이 풍부하게 나는 호주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크리스마스 음식이다.

 

임석한


 
   
 

 
Copyright(c) 2012 http://bible25.bible25.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