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여기에 관한 어떤 비유
유대인들의 최고의결기관이었던 산헤드린은 예수를 빌라도에게 넘겨 결국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예수를 처형시켰다. 그들은 끊임없이 자신들의 지위와 권위를 조롱하고 무너뜨렸던 도발자 예수를 주목하고 있었고 그에게 일격을 날릴 틈만 엿보던 중이었다. 그러다가 마침내 그들은 예루살렘에서 기회를 얻었다. 예상과 달리 로마제국의 공권력에 저항해 봉기를 선동하지 않고 그저 그 앞에 멍하니 서서 주저하며 틈을 보인 예수를 향해 치명적인 일격을 날렸던 것이다. 결국 그들은 목적했던 바를 이루어냈다. 그러나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눈엣가시였던 예수를 죽인 것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그들은 예수의 죽음 이후를 걱정했다. 혹시라도 누군가 예수의 죽음을 이용해 자기들에게 불리한 일을 행하지 않을까 염려했던 것이다. 결국 그들은 예수의 시체와 관련해 모종의 조치를 취하기로 결심했다. 그들은 당시 예루살렘 최고 심판관이었던 빌라도를 찾아가 요구했다. 예수의 시체와 관련하여 자신들 뜻대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리를 달라고. 그렇게 그들은 다시금 최고 심판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그들의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예루살렘 최고위 공무집행자인 빌라도로 말하자면, 사실 빌라도는 원래 예수를 풀어주려 했다고 성경은 전한다. 처음에 그는 예수의 처형을 거부했었다. 유대인들이 처형을 요구하며 예수를 자기에게 데리고 왔을 때 이 영리한 예루살렘 최고 심판관은 사태의 본질을 정확히 꿰뚫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결코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다. 예수의 활동은 공권력에 대한 저항이 아니었다.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에 대한 예수의 저항은 단지 유대인 그들이 믿는 신의 뜻에 어긋난다는 선언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메시아라는 주장 또한 순전히 종교적인 차원의, 그러니까 전혀 공권력에 위협이 되지 않는 주장이었다. 실제로 치안을 위태롭게 하는 직접적인 행동도 없었다. 그러니 이 사건은 사형에 해당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빌라도는 그렇게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는 채찍 정도면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어리석은 속국의 백성들은 이 정도면 만족할 것이라고. 그러나 사태는 그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았다. 집요하고도 열광적인 처형 요구에 그는 당황했다. 군중들은 이 흔들리는 총독에게 마지막 결정타를 날렸다. “만약 당신이 이 사람을 풀어준다면 당신은 최고 권력자의 충신이 아닙니다.” 당신의 최고 상관이 이 일을 좋게 생각하지 않으리라는 협박은 매우 효과적으로 통했다. 결국 빌라도는 예수가 무죄인 것을 알면서도 예수를 처형하도록 명령했다. 최고 권력자의 눈치를 본 공권력의 명백한 남용이었다. 그런 직후 빌라도는 대중 앞에서 손을 씻는 공개 퍼포먼스를 벌였다. 그러나 그가 그런 식으로 자기는 이 일을 모르겠다고, 기억하지 않겠다고 외면한다 할지라도 사형집행이 그의 허가로 이루어졌다는 명백한 사실은 결코 돌이킬 수 없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올바른 일을 수행해야 하는 자리에 있었던 공무원이었던 그는, 더구나 그 일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힘을 지니고 있었던 그는 비겁했다. 제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최고 권력자의 눈치를 보면서.
시체에 대한 처분도 그의 허락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을 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이번에도 자신의 명령으로 그 일을 허가했다. 그리하여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의 뜻대로 예수의 시체에 대한 조치를 감행했다. 공권력의 허가와 함께. 그러나 이 모든 이야기의 끝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 누구도, 그 무엇도, 그 어떤 불의한 힘도, 예수의 부활을 끝내 막지는 못했다.
이진경
Copyright © 2005 당당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