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다시 얻는 생존의 위장술
유미호 /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센터장
생물들은 먹고 먹히는 자연의 세계에서 자신을 지키고 돌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쓴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게 자신의 몸을 이용한 위장술이다. 동물이나 곤충은 살기 위해 때때로 보호색으로 위장술을 부린다. 기본적으로 녹색이나 흑색 그리고 갈색을 바탕색으로 하여 선과 점으로 된 기하학적인 무늬를 만들어서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곤 한다. 자연 속 위장술의 대가, 카멜레온은 천적인 새가 앉아 있는 나뭇가지에 천연덕스럽게 매달릴 만큼 위장술에 능하다. 몸이 나뭇가지와 똑같은 색이 되기에, 새들이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새들도 마찬가지인데, 몸의 색이나 알 색을 주변의 색과 잘 어울리는 모습을 하곤 한다. 자벌레와 같은 숲속 애벌레는 몸 색뿐 아니라 모양까지도 주변 자연의 모습과 비슷하게 바꾼다.
때론 주변 색과 대조를 이루는 무늬나 모양으로 상대방을 크고 무섭게 하려고 과대 포장하는 생물들도 있다. 하지만 다른 생물의 공격을 피하려고 흔히들 하는 행동은 숨는 거다. 사람도 위험에 부딪히면 본능적으로 몸을 웅크리거나 무리 속으로 몸을 숨기는데, 대부분 긴급할 때 하는 행동이다. 생물들은 평화로울 때도 다른 생물의 눈에 띄지 않으려고 변화를 준다. 자기 모습을 교묘하게 위장하고 상대방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오랫동안 꿈적하지 않고 가만히 있곤 한다.
사람들은 어떤가? 태초에 만들어진 사람들은 한없이 나약했고 생존을 위한 기술로 가진 게 별로 없었다. 처음 동산에서 생물들의 이름을 붙이며 그 속성을 알아가며 자신을 보호하거나 필요한 것을 취하면서 생존의 기술도 터득했다. 그런데 산업이 발달하고 기술이 발달하면서, 자연에서 모방한 위장술은 자연을 위협하는 기술로까지 확장되었다. 직면한 위기를 넘어서려는 기술적 행동이 오히려 위기를 부추기는 위장술로 둔갑해온 것인데, 세계 굴지의 석유 채굴기업이 그 대표적 예이다. 환경오염의 이미지를 벗어내고자 에너지전환에 많은 투자를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석유 생산을 더 늘렸다. 2010년 멕시코만에서 유출했던 석유를 2014년 정상화했다며 기름 청소작업을 중단했는데, 정말로 그런지 확인되지 않았고 그 후로도 계속되는 문제 제기에도 묵묵부답이다.
또 요즘 기업들이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해 업사이클(버려진 것을 재활용해 새 제품을 만드는 것) 티셔츠와 운동화를 만들어 팔며 광고하고 있는 것을 보면, 구매할수록 바다를 살릴 수 있다고 말하는 듯한데, 그도 그냥 넘어가기에는 뭔가 찜찜하다. 일반 의류산업도 마찬가지다. 옷이란 건 어떤 것이든 새로 사 입으면 입을수록 환경을 살릴 수 없고 해치고 죽일 수밖에 없다. 티셔츠 한 장을 생산하는 데만도 2,700ℓ의 물이 오염되고, 청바지 한 장을 만드는 데는 7,000ℓ의 물이 오염된다. 결국은 생명을 선택하고 그를 살리려면, 옷과 플라스틱을 적게 생산함과 동시에, 아껴 쓰고 최소로 소비해야만 한다.
자연이 심히 병들고 기후가 붕괴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이런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그 어느 때보다 위험하고 교묘한 시대를 살고 있어, 선뜻 대답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건 우리가 지금 당장 세상을 바꿀 순 없어도 다른 세상은 살아낼 수는 있다는 것이다. 생명을 사랑하는 주님의 마음으로 다시 한번 가만히 자연을 들여다본다면 길은 우리에게 나타날 것이다, 하나님의 창조세계 안에는 나 자신의 몸은 물론이고, 그들의 몸을 지키고 돌볼 수 있게 하는 지혜가 가득하다. 다만 경제적, 효율적이라는 미명 아래 생명의 가치를 위하는 척 위장한 채 돈 벌기에만 급급했던 삶을 멀리하고, 다른 삶을 살아내느냐에 달렸다. 부정적 생각으로 아무것도 안 하고 있으면 정말로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아주 작아 보이는 것일지라도 전 세계인의 생존의 목표인 ‘탄소중립’을 깊이 고민하면서 계속해서 노력한다면, 나비처럼 상상 속 세상이 우리에게 기적처럼 다가올 것이다. 그날은 오리라.